일상 속 공모와 방조의 사회악

사회악의 정점은 거대한 주모자만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에서도 방조와 묵인, 공모가 존재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미투 운동'이 촉발되기 전, 예술과 체육계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일상 속 사회악의 실체를 더 깊이 들여다보겠다.

일상 속 방조의 그늘: 무관심의 문제

일상 속에서 방조는 매우 흔한 현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부정적 사건들에 대해 무관심하게 지낼 때가 많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 성희롱이나 권력 남용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가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고통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대다수의 동료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눈을 감고 지나쳐 버리거나, 혹은 기껏해야 "그냥 넘어가면 좋겠지"라는 생각에 동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조는 결국 가해자에게 더 큰 힘을 실어주게 된다.

무관심은 무의식적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환경은 종종 개인의 도덕적 책임을 감추기도 하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보다 쉽게 비겁하게 행동하게 된다. 방조는 성폭력, 인권 침해, 그리고 각종 불법 행동의 뿌리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나와는 관계없는 일이기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더욱더 심화된다.

결국, 방조는 오랜 시간에 걸쳐 쌓인 사회적 관행으로 인해 형성되고 악화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지속적으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부정이 발생했을 때,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행동에 나서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작은 변화가 모여서 사회의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묵인의 말: 침묵이 주는 힘

묵인은 방조와는 또 다른 형태의 사회악으로, 누구나 쉽게 자신의 침묵으로 악의적인 상황을 승인하거나 축소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차별이나 괴롭힘 발생 시 자리에 있던 사람들의 응답을 기대할 수 있지만, 현실은 대개 반대의 경우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내 일이 아니니까" 또는 "가만히 있는 것이 최선이다"라는 생각으로 슬그머니 지나쳐 버린다.

묵인은 사회적 분위기를 더욱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작용한다. 비극적인 사건 이후 그에 대한 반응이 침묵으로 돌아갔을 경우, 가해자는 더 큰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피해자는 더 큰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묵인이 부분적으로는 사회의 암묵적인 규범과 직결 되어 있으며, 그 규범이 불합리할 경우, 사회적 문제를 더욱 심화시킨다.

과거의 '미투 운동'이 일어난 배경 뒤에는 묵인이 존재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주변 사람들의 침묵은 가해자가 지속적으로 비행할 수 있게 하는 토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라도 일상에서 묵인 그늘을 걷어내고, 피해자에게 응원과 지지를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사회가 더욱 정의로운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한발짝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공모의 악순환: 함께하는 책임

공모는 단순한 방조나 묵인보다 더 심각한 사회악이다. 특정 행동이나 상황에 대해 명시적으로 동의하거나 지지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그 책임이 크게 귀속된다. 예를 들어, 일부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의 비행이 드러날 때, 그와 함께 일한 관계자들이 그러한 행동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외면한 경우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과의 신뢰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모의 경우는 단기적으로 볼 때 결과를 개선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이는 사회의 일관성과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특정 집단이나 조직이 정당한 이익을 위해서라도 불법적인 행위를 저지르기 시작할 경우, 결국 이는 더 넓은 범위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관된 행동 규범이 결여된다면, 피해는 더욱 확산될 것이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책임을 깨닫고, 단지 불법적인 행위를 묵인하거나 방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명시적으로 거부하고 공모의 고리를 끊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 개인의 목소리가 쌓여 사회를 변화시키는 초석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결국 사회악은 거대한 주모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각자의 일상에서 함께 공조하고 방조하는 작은 행동들의 결과로 나타난다. '미투 운동'을 통해 드러난 일들은 이러한 사실을 상기시켜 주며,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각자가 일상에서 일어나는 부정에 대해 더 이상 침묵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의 변화는 그렇게 시작될 수 있다.